주메뉴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1602649857190.jpg

을유세계문학전집_7

커플들, 행인들

Paare. Passanten

보토 슈트라우스 ,정항균

264쪽, B6, 10,000원

2008년 08월 20일

ISBN. 978-89-324-0337-3

이 도서의 판매처

현대 사회의 고독 속에서 남녀 관계의 변질, 언어의 상투화를 파헤친다

1989년 독일 최고 문학상인 게오르크 뷔히너 상을 수상한 보토 슈트라우스. 『커플들, 행인들』은 그의 사상 전반을 함축하는 대표작으로, 지난 30년간 천착해온 그의 문학적 주제들을 독특한 형식으로 구현하고 있는 에세이이다. 이 작품에서 작가는 사랑, 고향, 문학, 회상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연작 형식으로 펼쳐내고 있다. 이 책에 수록된 여섯 개의 장은 언뜻 보면 서로 관련이 없는 듯하지만 파편적인 문장에 부여된 일련의 내적 질서를 통해 작품은 이 책의 제목 “커플들, 행인들”이라는 주제를 향해 가고 있다. 상업화, 기계화, 인간의 고독을 다룬 이 작품은 20년 이상이 흐른 지금까지도 현대인의 삶을 사유하는 문학적 바로미터로 평가받고 있다.

1) 「커플들」 사랑을 주제로 한 이 첫 번째 장에는 마치 스냅 사진처럼 한 문단 혹은 하나의 문장으로 포착된 수십 쌍의 남녀가 등장한다. 이 글의 단편성은 형식에 머물지 않고 남녀 관계의 본질까지 꿰뚫고 있다.

2) 「차량의 강물」 3년 동안 사귀었던 나의 옛 애인이 교차로를 건너고 있다. 나는 지금 막 자동차 운전 중에 그녀를 발견했다. 누가 해코지할까봐 길거리에 나다니는 것조차 걱정되었던 여인이다. 하지만 자동차로 그 옆을 지나갈 때 그녀의 얼굴은 예전에 친근했던 그때 그 얼굴이 아니다. “친근한 사람을 다시 낯선 사람으로 바꿔 버리는 …(중략)… 망할 놈의 행인의 세계여!”(81쪽) 자동차의 행렬과 걸어가는 사람 사이의 간극으로 현대 사회의 인간관계를 묘사하는 두 번째 장 「차량의 강물」은 이 첫 번째 일화로 「커플들」과 연결된다.

3) 「글」 「차량의 강물」의 마지막 일화에서 작가는 자신이 살던 옛집을 찾아간다. 그는 어릴 때 집 앞의 강물을 바라보며 “모든 것에 관한 무한한 책을 쓸 거야”라고 다짐한 바 있다. 그렇게 세 번째 장 「글」이 이어진다.
이 장에서 작가는 기표와 기의가 일치하고 언어가 의미를 전달하는 수단이라는 입장에 본격적으로 회의를 표명한다. 또한 “지금까지 쓴 모든 글들의 감독 아래 글을 쓰는 것이다”(110쪽)라며 완전히 독창적인 글은 있을 수 없다고 말한다. 그러나 글을 통한 타자와의 만남을 거론하며 문학의 가능성을 완전히 거두지는 않고 있다.

4) 「황혼/여명」 독일어 “Dӓmmer”는 황혼과 여명을 모두 뜻하는 말로, 이 작품에서는 우주의 소멸과 생성을 내포한다. 이 장에서는 백치, 정신박약아, 코끼리, 간수와 죄수가 등장하는 꿈 같은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는 보토 슈트라우스의 1980년대 문학의 주제인 근원적 과거로서의 “신화”와 연결된다.

5) 「단독자들」 같은 공간에 함께 있어도 뿔뿔이 흩어진 단독자들. 작가는, 사람들이 자기 능력의 최고 정점에 있는 경우는 주위의 아무 보호도 받지 못한 채 혼자서 행동할 때라고 말한다.

6) 「현재에 빠져 사는 바보」 이 장은 자아상이 분열되거나 해체되고 역사 시대의 질서가 와해되는 탈 역사 시대를 다루고 있다. 또한 보드리야르를 거론하며 실재와 가상 사이의 경계가 분명치 않은 시대를 말한다. 이때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 짓는 중요한 수단은 “회상”이다.
이 장의 마지막, 즉 이 책의 마지막 일화에서 화자는 어느 여인의 노래 소리를 들으며 인식의 확장을 경험한다. 이는 첫 장 「커플들」의 첫 번째 일화에 무슨 소리를 들으려고 귀를 잔뜩 기울이다 결국 아무것도 듣지 못하는 남자가 등장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결국 이 작품 맨 처음에는 들리지 않았던 막연한 그 무언가가 마지막 장에 와서야 마침내 들리는 것이다.
커플들
차량의 강물

황혼/여명
단독자들
현재에 빠져 사는 바보


해설: 보토 슈트라우스의 작품과 신화에 대한 회상
판본 소개
보토 슈트라우스 연보

저자

보토 슈트라우스

독일 문단의 가장 논쟁적인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되는 보토 슈트라우스는 1944년 나움부르크에서 태어났다. 뮌헨에서 독문학, 연극사, 사회학을 공부한 후 1967년부터 『테아터 호이테』에서 평론가 및 편집장으로 활동을 시작하면서 연극계에 발을 들여놓았다. 이때부터 지금까지 희곡은 물론 연극 평론, 소설, 시, 에세이 등 다양한 형식의 문학을 구현해왔다.
페터 한트케, 엘프리데 옐리네크와 함께 현대 독일어권 문학을 대표하는 1940년대 생 작가로 분류되는 보토 슈트라우스는 오늘날 독일에서 가장 공연을 많이 올리는 극작가 중 한 명으로, 1972년 처녀 희곡 『우울증 환자』가 초연되었으며, 1976년 『재회의 삼부작』을 , 1978년 『큰 세계와 작은 세계』를 발표했다. 그밖에 주요 작품으로 장편소설 『젊은 남자』(1984), 에세이 『그 어느 누구도 아닌 바로 그』(1987), 희곡 『마지막 합창』(1991), 희곡 『이타카』(1996) 등이 있다. 1987년 장 파울 상, 1989년 게오르크 뷔히너 상, 2001년 함부르크 레싱 상을 수상했다.
1993년 『슈피겔』지에 발표한 「번져 가는 속죄양의 노래」는 통일 이후 독일의 좌파적이고 환경주의적인 지배 담론이 “이미 지적인 자극을 완전히 상실했다”고 선언한 글로, 여기서 작가는 “우파적”이라는 가치를 “좌파적” 가치보다 우위로 선정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크리스타 볼프의 동독 시절 전력, 페터 한트케의 세르비아 옹호, 마르틴 발저의 아우슈비츠 도구화에 대한 언급과 함께 독일 문학계를 뒤흔드는 논쟁을 야기했다.

역자

정항균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부퍼탈대학교에서 폰타네 소설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독일 19세기 사실주의 문학과 독일 현대소설을 전공했으며, 현재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대화의 개방성. 테오도르 폰타네의 소설연구(Dialogische Offenheit. Eine Studie zum Erz?hlwerk Theodor Fontanes)』(2001), 『므네모시네의 부활』(2005), 『시시포스와 그의 형제들』(2009), 『typEmotion. 문자학의 정립을 위하여』(2012), 『메두사의 저주』(2014), 『아비뇽의 여인들 또는 폭력의 두 얼굴』(2017)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악마의 눈물, 석유의 역사』(공역, 2004), 『커플들, 행인들』(2008), 『어쩌면 이것이 카프카』(2017)가 있다. 기타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최근의 주된 관심 주제는 ‘고향’이며, 현재 다와다 요코에 관한 저서를 준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