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한국의명수필2_2.jpg

한국의 명수필 2-수필에 길을 묻다

법정

284쪽, A5변형, 10,000원

2005년 11월 25일

ISBN. 89-324-7096-0

이 도서의 판매처

“읽을수록 따뜻해지는 아름다운 우리 수필”
황동규, 정호승, 안도현, 김훈, 장영희, 법정, 손광성, 맹난자, 목성균 등의
명문장이 한데 모인 한국 대표 수필선

오늘날 우리는 수필의 전성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질적 수준의 문제가 제기되면 말문이 막히곤 한다. 수필이라는 장르가 열등해서가 아니다. 모든 장르는 고유의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장르에는 우열이 없다. ‘수필은 생각나는 대로 쓰는 글’로 오해하고 있는 데에 문제의 심각성이 있을 따름이다.
1990년대 이후 수필의 양적 팽창은 거의 놀랄 만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한국 수필문학의 발전을 위해 바람직한 일임에 틀림이 없으나 모든 작품이 다 문학성이 뛰어날 수는 없다. 따라서 옥석을 가려야 하는 선정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런 작업은 독자들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작가들을 위해서도 반드시 거쳐야 할 과정이다. 독자들에게는 양질의 작품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고, 작가들에게는 독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한국 수필의 역사를 한 눈에 가늠하는 데에도 적잖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을유문화사는 1993년에 이미 『한국의 명수필』을 엮어 낸 바 있다. 그리고 세 차례에 걸쳐 개정판을 내면서 꾸준히 보완해 왔다. 하지만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신작들을 수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이번에 두번째 선집인 『한국의 명수필 2-수필에 길을 묻다』를 출간하게 된 것이다.
지난 12년 동안 일어난 변화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여성작가의 괄목할 만한 수적 증가라 하겠다. 1993년도 첫 선집에 수록된 작가를 성별로 분류한 결과, 남성과 여성의 비율이 7대 3이었다. 그러나 이번 선집에 수록된 작가의 성비는 5대 5이다. 이것은 비단 수필계의 일만은 아니다. 다른 장르도 마찬가지다. 사회 전반에 걸쳐 일어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수필가의 이와 같은 성비의 변화는 그 자체에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수필의 내용 면에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에 의미가 있다. 1990년대 이후 수필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지적한다면, 첫째는 지적인 면에서 정적인 면으로, 둘째는 전문적 내용에서 일반적 내용으로, 셋째는 논리적 사고에서 감성적 정서로 그 성격이 변모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책은 그런 점에서 한 시대를 돌아보고 다가올 시대를 조망하는 현재의 시각으로 오늘의 수필이 어디에 있으며, 어디로 가는가를 묻는 새로운 시도가 될 것이다.

읽을수록 따뜻해지는 아름다운 우리 수필들
수필은 부드러운 귀엣말 같은 친근감이 있고, 속내를 드러내는 솔직함이 있으며, 나를 둘러싼 세계에 대한 깊은 통찰에서 오는 삶의 예지가 있다. 수필은 시처럼 뜨겁지는 않지만 소설처럼 차갑지도 않다. 따뜻하다. 이 따뜻한 체온을 나는 사랑한다. 수필도 때로는 비판을 서슴지 않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우정이 있는 비판이다.
수필의 미는 균제(均齊)의 미다. 치우침이 없는 조화의 미학. 알맞게 생략하고 알맞게 비약한다. 비유를 원용하되 산문의 명료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이며, 이야기 형식을 취하되 체험에 바탕을 둘 뿐 허구에 기대지 않는다. 한 잔의 차를 앞에 놓고 친구와 정담을 나누듯이 직접 자기 이야기를 풀어 나가는 직접성, 그것이 우리에게 신뢰감을 준다.
-머리말에서

굳이 엮은이의 머리말이 아니라도 수필은 열린 형식의 문학이고 제재에 따라서 시적 형식을 취할 수도 있고, 소설적 또는 희곡적 형식을 취할 수도 있는 실험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것이 때로 수필의 정의를 어렵게 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다양성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이 책에는 다양한 계층의 다양한 글쓰기가 깃들어 있다. 시인, 소설가, 언론인, 음악가, 화가, 평론가 등 다양한 필자들이 저마다의 개성 있는 글쓰기로 미문(美文)을 창출한다.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황동규, 정호승, 안도현, 김 훈, 장영희, 법 정, 손광성, 맹난자, 목성균 등의 문장가들이 하루하루의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아주 작은 사소한 것들, 그 안에서 발견한 인생의 의미를 담아 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