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globalizationkorea.jpg

국제정치와 한국(2003)_3

세계화와 한국

국제관계연구회

456쪽, A5, 12,000원

2003년 10월 25일

ISBN. 89-324-6095-7

이 도서의 판매처

세계의 흐름을 읽으면 세상이 보인다! 냉전이 종식되고 분단을 강요하는 외적인 억압이 사라졌다고들 하지만, 여전히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에는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미국의 이라크 전투병 파병 요청으로 여론이 들끓고, 찬반론이 팽팽히 맞서면서 연일 일간 신문의 1면을 장식하고 있다. 이렇듯 전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많은 사건들은 우리와 멀리 떨어져 있는 문제처럼 보이지만 조금만 더 깊숙이 문제의 본질에 접근해 보면 개인의 일상과 뗄 수 없는 연관성을 갖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국제 정치 질서 속에서 과연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에 앞서서 우리는 먼저 세계의 흐름을 명확하게 인식해야 한다는 과제를 풀어야 한다. 한반도의 발전을 위해서도 국제적 흐름의 이해는 필수적인 것이며, 다음 세대를 위해서도 국제 정세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들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연구들은 한국적 현실에 토대를 두면서도 국제 정치 질서에 부합해야 하며 더 폭넓게, 그리고 더 깊게 바라볼 줄 아는 힘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우선 '오늘을 사는 우리를 비추는 거울과 같은 존재'라고 정의되는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거기에서 파생되는 힘의 역학관계들, 끊임없이 변화하는 21세기의 세계 정치 질서의 흐름들 속에서 과연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하는지 냉정하게 따져 보아야 할 것이다. <국제정치와 한국> 총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국내 전문 학자들의 기획으로 이루어졌다. 전문 학자들의 다양한 주제와 심층적인 분석 <국제정치와 한국> 총서는 우선 국내에 국제정치 분야의 전문지식을 꾸준히 쌓아온 52명의 권위 있는 전공 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낸 성과물이다. 10년 이상 각자의 분야에서 전문 지식을 확대, 심화시켜 온 전문 학자들이기에 깊이 있는 내용을 신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두 번째는 국제정치학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테마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했다는 점이다. 즉 근대 국제질서와 한반도,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한국, 세계화와 한국, 세계 지역의 정치로 나누어진 각 권에는 근대 국제정치의 본질적 개념에서부터 근대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이론, 조선의 외교정책, 미국의 패권주의, 한국전쟁과 일본의 관계, 세계화와 탈냉전 그리고 정보기술의 국제정치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가 포함돼 있다. 그동안 21세기의 국제정치에 관련된 자료가 턱없이 부족한 현실에서 본 총서는 기존의 저작들과는 차별화되는 심도 깊은 분석을 통해 한반도를 관통하는 국제정치 정세의 흐름을 되짚어보고 있다. 또한 현재와 미래의 정치 질서 속의 한국의 위치를 조망하는 좋은 본보기를 제시하는 안내서이자 깊이 있는 교과서로써 전공 학생들의 학문 연구와 폭넓은 교양 형성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세계화, 지역주의, 정보화에 대한 정치경제적 접근을 통해 21세기 세계정치의 변화를 읽는다 21세기는 혼돈과 불안정의 모습으로 다가오고 있다. 국제적·국내적으로 빈부격차가 심화되는 가운데 사회적 갈등과 불안이 테러리즘과 전쟁의 형태로 표출되고, 세계화의 부작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글로벌 거버넌스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우리는 세계화와 근대국가, 시장논리와 사회적 통합간의 긴장관계를 21세기적 맥락에서 풀어나가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이 책은 국제정치경제적 관점에서 현대 국제정치경제질서, 지역통합, 그리고 정보기술의 국제정치 등을 분석하고 있다. 제1부는 세계화, 신자유주의, 동아시아발전, 환율정책, 통상협상 등 국제정치경제의 거시적 현상들을 다룬다. 제2부는 지역, 환경, 문화, 민족주의 등 국제정치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분석하고 있다. 제3부에서는 과학기술의 정치경제, 특히 정보화의 국제정치경제적 의미를 고찰한다.
서문

제1부 정치경제 관점에서 본 현대 국제질서
1. 세계화와 탈냉전의 국제질서 - 변화와 연속성: 윤영관
2. 신자유화의 정치경제 - 국가·시장·민주주의: 이호철
3. 동아시아 정치경제이론 - 신제도주의이론의 등장과 한계: 이종찬
4. 환율정책과 국가권력 - 아시아 금융위기, 국제통화력, 그리고 미국 행정부의 독자적 영역: 이근
5. 통상협상의 가능성과 한계 - 한미간 무역협상 사례: 양기웅
6. 정치자금과 정경유착의 정치경제|김인영

제2부 지역통합과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7.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의 국제정치학 - APEC을 중심으로: 하용출·김태현
8. 환경운동이론의 현재와 미래: 신연재
9. 디지털시대의 문화정체성: 홍성민
10. 세계화시대 열린 민족주의 모색: 김영명

제3부 정보, 기술의 국제정치
11. 정보화와 국제정치 - 한국 안보정책에의 함의: 김주홍
12. 과학기술 협력의 국제정치 - 거대 과학의 사례: 조현석
13. 일본과 미국의 첨단산업 육성정책: 서창록
14. 정보화와 국제 정치경제 변화: 배영자
15. 정보화시대의 세계표준경쟁 - 컴퓨터산업을 중심으로: 김상배

저자

국제관계연구회

박상섭(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최정운(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박의경(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 학술원)
전재성(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이철호(부산대학교 국제대학원)
남궁곤(경희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장인성(서울대학교 외교학과)
조성환(경기대학교 정치대학원)
김용직(성신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손 열(중앙대학교 국제대학원)
김수암(통일연구원)
김현철(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정용화(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하영선(서울대학교 외교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