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흐름을 읽으면 세상이 보인다!
냉전이 종식되고 분단을 강요하는 외적인 억압이 사라졌다고들 하지만, 여전히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에는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미국의 이라크 전투병 파병 요청으로 여론이 들끓고, 찬반론이 팽팽히 맞서면서 연일 일간 신문의 1면을 장식하고 있다. 이렇듯 전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많은 사건들은 우리와 멀리 떨어져 있는 문제처럼 보이지만 조금만 더 깊숙이 문제의 본질에 접근해 보면 개인의 일상과 뗄 수 없는 연관성을 갖고 있다. 그렇다면 지금 이 순간에도 새롭게 변화하고 있는 국제 정치 질서 속에서 과연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에 앞서서 우리는 먼저 세계의 흐름을 명확하게 인식해야 한다는 과제를 풀어야 한다. 한반도의 발전을 위해서도 국제적 흐름의 이해는 필수적인 것이며, 다음 세대를 위해서도 국제 정세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들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연구들은 한국적 현실에 토대를 두면서도 국제 정치 질서에 부합해야 하며 더 폭넓게, 그리고 더 깊게 바라볼 줄 아는 힘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우선 '오늘을 사는 우리를 비추는 거울과 같은 존재'라고 정의되는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거기에서 파생되는 힘의 역학관계들, 끊임없이 변화하는 21세기의 세계 정치 질서의 흐름들 속에서 과연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하는지 냉정하게 따져 보아야 할 것이다. <국제정치와 한국> 총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국내 전문 학자들의 기획으로 이루어졌다.
전문 학자들의 다양한 주제와 심층적인 분석
<국제정치와 한국> 총서는 우선 국내에 국제정치 분야의 전문지식을 꾸준히 쌓아온 52명의 권위 있는 전공 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이루어낸 성과물이다. 10년 이상 각자의 분야에서 전문 지식을 확대, 심화시켜 온 전문 학자들이기에 깊이 있는 내용을 신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두 번째는 국제정치학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테마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접근했다는 점이다. 즉 근대 국제질서와 한반도,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한국, 세계화와 한국, 세계 지역의 정치로 나누어진 각 권에는 근대 국제정치의 본질적 개념에서부터 근대 동아시아의 국제정치이론, 조선의 외교정책, 미국의 패권주의, 한국전쟁과 일본의 관계, 세계화와 탈냉전 그리고 정보기술의 국제정치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가 포함돼 있다.
그동안 21세기의 국제정치에 관련된 자료가 턱없이 부족한 현실에서 본 총서는 기존의 저작들과는 차별화되는 심도 깊은 분석을 통해 한반도를 관통하는 국제정치 정세의 흐름을 되짚어보고 있다. 또한 현재와 미래의 정치 질서 속의 한국의 위치를 조망하는 좋은 본보기를 제시하는 안내서이자 깊이 있는 교과서로써 전공 학생들의 학문 연구와 폭넓은 교양 형성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20세기 동아시아와 한반도 국제관계의 존재방식과 역동성을 꿰뚫는 국제정치학자들의 지적 성찰
역사상 지난 1세기만큼 많은 변화가 집중적으로 일어난 시기는 드물다. 국제정치의 변화는 한반도 정세와 한반도를 사는 우리들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왔다. 20세기 국제정치가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 어떠한 형태로 전개되었으며, 지역정치와 지역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 21세기 국제정치와 우리들의 삶에 대해 어떤 의미를 가질까. 이 책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학술적 답변을 시도한 것이다.
제1부는 '미국의 세기'로 일컬어지는 20세기 국제정치의 전개를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제2부는 20세기 후반의 국제정치가 일본에 미친 영향과 일본의 대응을 다루고 있다. 제3부에서는 남북한 관계의 분석을 통해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미래상을 성찰해 본다.
서문
제1부 '미국의 세기'와 동아시아
1. 미국 패권의 논리 - 제2차 세계대전과 미국의 '대영역': 이혜정
2. 냉전 기원의 재해석 - 탈냉전기 공개자료와 연구를 중심으로: 김영호
3. 미국 동아시아 정책의 역사적 고찰 - 식민주의, 냉전, 탈냉전: 신욱희
제2부 20세기 국제정치와 일본의 대응
4. 일본 안전보장론의 이해: 전봉근
5. 한국전쟁과 일본 - '기자국가'의 전쟁과 평화: 남기정
6. 냉전과 한일관계 - 한일국교 정상화 과정의 재해석: 이원덕
제3부 한반도 국제정치의 현재와 미래
7. 한국인의 대북 이미지, 정세인식 및 대북정책 태도: 김태현
8. 남북한 경제협력의 정치경제: 김석우
9. 대량파괴무기의 정치적 효용 - 북한의 핵미사일 정책과 전략: 온창일
10. 정보화시대의 국가안보 - 개념의 변화와 정책 대응: 이상현
11. 동북아 안보체제와 다자주의: 김재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