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세대 과학 전도사로서 그간 독자들에게 여러 가지 재미있는 생물 이야기를 알기 쉽게 전달해 온 저자 특유의 문체와 구수한 입담을 만날 수 있는 책이다. 토속어와 한글 고유어의 활용은 물론 풍부한 어휘가 여러 생물학적 지식과 잘 버무려져 한 권의 과학책이자 한 권의 이야기책으로 손색이 없다. 책장을 펼치면 뭇 생명들로 가득한 우리 세상이 또 다른 별천지로 다가온다. 위험해지면 테러리스트처럼 폭탄을 터트리는 폭탄먼지벌레부터 인디언 추장의 머리 장식과 비슷한 깃털을 달고 있는 후투티, 물속 호랑이라 불리는 물방개에 이르기까지 여러 생물의 한살이가 흥미롭게 펼쳐진다. 또한 얼룩말과 당나귀 사이에 태어난 잡종인 존키처럼 흔히 보기 힘든 생물들의 이야기도 만날 수 있다. 저자가 전하는 이야기에는 갈색거저리 유충인 밀웜이 플라스틱의 일종인 스티로폼을 소화하는 능력을 지녔다는 사실처럼 놀라운 내용도 많다. 책에 담겨 있는 저자의 시선은 구석구석 미치지 않는 데가 없을 정도로 세심하면서도 이웃이나 친구의 이야기를 전하듯 친근하게 다가오는 게 특징이다. 책에서 다루고 있는 생물들도 미토콘드리아와 같은 세포소기관에서부터 돌고래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또한 각 장에는 해당 생물의 사진이나 일러스트를 실어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해당 생물명의 어원을 가능한 상세하게 밝히고 있다는 점이다. 해당 생물의 이름에 담긴 뜻을 알면 그 생물의 특징이나 생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치 같은 경우, 맛이나 영양 면에서 다른 어종을 앞지르는 탓에 물고기 중에서 으뜸이란 뜻으로 ‘진치’, ‘참물고기’라 불렸는데 그 말들의 뜻이 함께 묶어 ‘참치’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참치는 이름에 걸맞게 이른바 ‘바다의 닭고기’라 불리며 고단백 저지방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생물을 부르는 고유의 우리말이나 토속적인 향어(鄕語)도 함께 소개하고 있다. 땅강아지 같은 경우 지역에 따라 ‘땅개, 개밥통’ 등으로 불리고, 물방개의 경우 고유의 우리말은 ‘선두리’이다. 생강의 경우 ‘생강, 새앙, 생’으로 표준어가 세 개나 된다.
아울러 저자는 생물의 학명을 통해서 각 생물의 특징을 설명하기도 한다. 날짐승(조류)과 길짐승(포유류)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어 중간 생물로 보는 오리너구리의 학명은 Ornithorhynchus anatinus라고 불리는데, 여기서 속명 Ornithorhynchus의 Ornitho는 새, rhynchus는 주둥이란 의미고, 종명 anatinus는 오리발과 비슷하단 뜻이다. 오리너구리 특유의 주둥이와 오리발의 특징을 학명만 보고도 알 수 있다. 또한 오리너구리는 영문으로 platypus라 불리는데 여기서 ‘platypus’는 발이 오리발처럼 납작하다는 뜻이다. 이처럼 생물명을 알게 되면 그 생물에 대해 보다 깊은 이해를 할 수 있다. 저자가 전하는 어원, 학명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생물을 접할 때 그 생물에 대해 보다 폭넓게 이해하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해준다.
생물 수필가이자 1세대 과학 전도사가
전하는 쉽고 재미있는 생물학 이야기
독자들은 이 책을 통해 한낱 미물이라고 우습게 볼 만한 생명체는 아무것도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폭탄먼지벌레 같은 경우 작은 곤충이지만 복잡한 메커니즘으로 화학 물질을 터트리는 특수한 기관을 가지고 있다. 폭탄먼지벌레의 화학 분사에 관여하는 물질은 하이드로퀴논과 과산화수소다. 이 두 물질은 각각 폭탄먼지벌레의 배 끝에 있는, 분비샘 벽이 얇은 널찍한 방 같은 공간에 따로 수용액 상태로 저장되어 있다. 또 분비샘의 벽이 매우 두꺼운 방에서는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 효소인 카탈라아제와 하이드로퀴논을 피-퀴논으로 산화시키는 페록시다아제라는 물질이 들어 있다. 폭탄먼지벌레는 위험을 느끼면 분비샘에서 화학 물질과 효소를 반응실로 보낸다. 반응실에서 이 화학 물질들이 만나 폭발하면 큐티클로 만들어진 반응실이 팽창하면서 화학 물질 투입구의 밸브가 막히고 가스가 분출되면서 폭탄을 터트리게 된다. 그러다가 가스 증기가 빠져나가 압력이 다시 떨어지면 밸브가 새로 열리면서 화학 물질이 들어와 폭발이 되풀이된다. 스컹크는 한 번 독한 화학 물질을 분사하면 당분간은 다시 방출할 수 없지만 폭탄먼지벌레는 조금씩 연속해서 계속 화학 분사를 할 수 있다.
폭탄먼지벌레처럼 과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생물은 또 있다. 얼룩말의 줄무늬도 과학적 원리에 따라 생긴 것이다. 얼룩말의 세로무늬는 소복한 풀숲에 숨으면 서 있는 풀과 비슷해서 들통 나지 않게 하고 가로무늬는 경계를 흐리게 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얼룩말이 떼 지어 서 있거나 가까이에서 여럿이 움직이면 커다랗고 얼룩덜룩한 덩어리로 보이고 눈부시게 커졌다 작아졌다 명멸하면서 포식자를 혼란시킨다. 또한 얼룩무늬는 얼룩말의 몸을 식히는 작용도 한다. 빛을 모두 흡수하는 검은 줄 위에서는 공기가 빨리 흐르고 빛을 모두 반사하는 흰 줄 위에서는 공기 흐름이 느려져 공기 대류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 결과 더운 지방에 사는 얼룩말일수록 줄무늬가 더 많다.
이처럼 생물들의 생활사를 들여다보면 그들만의 과학적 지혜를 배울 수 있다. 생물들은 저마다 현명한 방법으로 이 땅에서 당당히 인간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동반자이자 우리에게 도움을 주는 기부자들이기도 하다. 육계나무의 겉껍질인 계피는 향신료로 많이 사용되는데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가 아랍 지방에 있었던 불사조 둥지에서 발견했다고 적고 있을 정도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어 온 식물이다. 또한 계피는 이집트에서 미라의 방부제로 사용되기도 했다.
이외에도 북미에서는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위해종으로 처치 곤란한 생물로 여기지만 우리 식탁에서는 음식 재료로 자주 올라오는 미더덕부터 천연 인슐린이 풍부하게 들어 있고 땅속의 사과라 불리는 야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생물들의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좀 더 깊이 있는 시각으로 우리 주변을 가득 채운 뭇 생명들을 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아마도 쏘가리라는 이름은 지느러미 가시가 쏜다는 뜻에서 생긴 이름일 터이다. 쏘가리는 몸 색깔이 아름답다고 금린어(錦鱗魚)라 부르고, 궐어(鱖魚)라고도 한다. 궐어라는 물고기 이름에 재미나는 이야기가 하나가 있다. 임금이 사는 곳을 대궐(大闕)이라 하고, 쏘가리 궐(鱖)과 대궐의 궐(闕) 자는 뜻은 다르지만 발음이 같다. 그래서 쏘가리 그림을 그려도 반드시 한 마리를 그렸으며(태양이 하나이듯 임금은 언제나 한 사람이니까), 두 마리를 그리면 국가나 군주를 전복할 것을 꾀한 죄(모반죄)로 죽임을 당했다고 한다. 아따, 무서운 세상, 모반이란 말만 나와도 목이 댕강 날아가는 세상이 아니었던가.
- 본문 59쪽
한때 캐나다에서 미국 샌디에이고 해변까지 기고만장한 ‘아시아 멍게’가 기를 쓰고 달려들어 그곳 바다 생물을 다 죽인다고 미국의 신문과 방송에서 된통 난리가 났었다. 한마디로 외국에서 유입된 생물들이 까탈을 부리는 것은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낱낱이 손으로 잡아떼거나 소금・석회・빙초산들을 뿌리며 안간힘을 다 써 봤으나 검질긴 놈들이 끄떡하지 않는단다. 일본・캐나다・덴마크에서도 난데없이 나타난 녀석들이 굴 양식장을 거덜 내기에 방제법을 찾느라 속을 끓이는 중이라고 한다. 또한 유생 때는 어패류의 먹이가 되지만 수시로 성체를 잡아먹을 포식자는 불가사리 외에는 알려지지 않았다. 온 세상이 이렇게 놈들을 다 못 죽여 난리법석인데 유독 우리나라서만 그 수요가 늘어나 멍게와 함께 양식하는 판이다. 세상 영 고르지 않구려!
- 본문 76~77쪽
근래는 변변치 못하고 시답잖은 갈색거저리 유충(밀웜)이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도처에 널려 있어 환경을 더럽히는 스티로폼을 가뿐히 먹어 치우는 것을 알아냈다고 한다. 신통방통하게도 거저리의 창자 속 미생물이 플라스틱을 소화시킨다고 하니 환경 보호에도 안성맞춤인 좋은 곤충이라 하겠다. 꿩 먹고 알 먹는다더니만…….
- 본문 174쪽
저자
권오길
쉽고 재미있는 과학 대중 교양서를 집필한 1세대 학자로 ‘과학계의 김유정’이라 부를 수 있을 만큼 토속적이고 구수한 입담을 구사한다. 그간의 공로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과학문화상, 한국간행물 윤리상 저작상, 강원도문학상 학술상 등을 수상했다. 경상남도 산청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생물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으며, 이후 수도여중고, 경기고교, 서울사대부고 교사를 역임했다. 현재 강원대학교 생물학과 명예교수다. 저서로는 『권오길의 괴짜 생물 이야기』 『권오길이 찾은 발칙한 생물들』 『꿈꾸는 달팽이』 『인체 기행』 『생물의 죽살이』 『생물의 다살이』 『바다를 건너는 달팽이』 『원색한국패류도감』 『하늘을 나는 달팽이』 『자연계는 생명의 어울림으로 가득하다』 『생물의 애옥살이』 『생명 교향곡』 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