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란드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폴란드 최고의 소설! 국내 초역
20여 개 언어로 번역되고, 영화, 연극, TV 연속극으로 방영된 최고 인기작!
폴란드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최고의 소설로 손꼽히는 작품이자, 세부적인 묘사와 단순하고 명쾌한 언어가 돋보이는 사실주의 대표작인 『인형』이 을유세계문학전집 85, 86번째(상하권) 작품으로 출간되었다. 20여 개 언어로 번역되고, 영화, 연극, TV 연속극으로 방영될 정도로 많은 사랑을 받았지만 국내에는 처음 소개되는 작품이다. 이 소설은 다양한 인간의 내면을 세밀하게 보여 주는 흥미로운 이야기 전개로 흠뻑 빠져들게 만드는 힘이 있다.
귀족부터 빈민에 이르는 광범위한 사회층의 갖가지 인간관계를 분석하고 비판한, 폴란드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작품
『인형(Lalka)』은 노벨 문학상을 받은 체스와프 미워시를 비롯한 많은 문학 평론가들에게 폴란드 최고의 소설로 인정받는 작품으로, 사실적이고 세부적인 풍부한 묘사와 단순하고 명쾌한 언어가 돋보이는 소설이다. 폴란드의 몇몇 건물에 “이 집에 1878년부터 1879년까지 볼레스와프 프루스가 소설 『인형』에 등장시킨 인물 스타니스와프 보쿨스키가 살았다. 그는 1863년 봉기에 가담했고, 시베리아에서 유형을 살았으며, 상인이었고, 수도 바르샤바의 시민이었다. 그는 불우하고 가난한 사람들을 도와준 자선가였고, 학자였다. 그는 1832년에 출생했다" 같은 문구를 담은 기념물이 있는데, 이 기념물들은 애독자들이 그 건물에서 소설 속의 가공인물이 살았을 거라고 상상하며 만든 것이다. 이렇게 독자들이 기념물을 통해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랑과 존경을 표시하는 경우는 세계 문학에서 찾아보기 힘든 일이다. 2015년 9월 5일 폴란드에서 개최된 ‘국민 책 읽는 『인형』의 날(Dzie? Narodowego Czytania ‘Lalki’)’ 행사 때 전국의 학교, 문화 회관, 도서관, 서점, 공중 독서실 등 1천6백여 장소에서 전 국민이 동시에 『인형』을 읽었을 정도로 『인형』은 폴란드 국민이 가장 사랑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작품을 통해 폴란드 귀족들의 완고한 특권 의식, 이기심, 도덕적 해이, 경제관념의 부재, 노동에 대한 경시, 시대 변화에 대한 무지, 이성적 사고 불능 등 폴란드의 근대화에 장애가 되는 봉건주의적 잔재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또한 이 소설에는 작가의 온화한 심성과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이 잘 반영되어 있다.
위대한 사실주의 작가의 세부적인 풍부한 묘사와 단순하고 명쾌한 언어가 돋보이는 작품
“프루스는 폴란드 소설의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사실주이자이며, 『인형』은 19세기 폴란드 최고의 소설이다.” - 스타니스와프 바라인차크(Stanisław Bara?czak), 하버드대학 폴란드 문학 교수, 시인
프루스는 『인형』을 통해 폴란드 귀족들의 완고한 특권 의식, 이기심, 도덕적 해이, 경제관념의 부재, 노동에 대한 경시, 시대 변화에 대한 무지, 이성적 사고의 불능 등 폴란드의 근대화에 장애가 되는 봉건주의적 잔재를 신랄하게 비판했다. 또한 이 소설에는 작가의 온화한 심성과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이 잘 반영되어 있다. 크세소프스키 부부나 마루세비츠 등 아무리 사악한 인물들도 인간적인 면이 있음을 보여 준다. 혹은 스타르스키처럼 많은 사람을 불행하게 만들었던 무위도식하는 철면피 같은 인물은 끝까지 스스로 반성하는 빛을 보이지 않지만, 그의 부도덕적인 행위 ‘덕택’에 다른 사람이 비로소 사실에 대해 눈을 뜨게 되고 새로운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해석함으로써 그의 악행에도 순기능이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 정병권, 「해설」 중에서
사업가 보쿨스키는 소문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다. 죽은 아내가 남긴 상점으로 충분히 풍족하게 살 수 있지만 전쟁에서 얻을 수 있는 큰 이익을 노리고 전쟁터로 떠났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그를 미쳤다고 했지만 그는 엄청난 돈을 벌어 돌아온다. 그리고 한눈에 반한 이자벨라를 향한 사랑을 불태우며 그녀를 얻기 위해, 경제력을 잃은 아버지 등 그녀의 주변 인물들에게 접근한다. 사실 위험을 무릅쓰고 전쟁터로 간 것도 그녀에게 다가가기 위해 필요한 재력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자벨라는 뛰어난 미모로 수많은 남자들에게 구애를 받았지만 아직까지 마음을 연 적이 없는 만만치 않은 상대다. 게다가 허영심 많고 이기적이며 귀족의 특권 의식에 사로잡혀 있었다. 그녀에게 보쿨스키는 무례해 보이고, 이상한 눈빛으로 자신을 쳐다봤던 상점 주인일 뿐이다. 보쿨스키도 그녀가 자신을 보는 시선이 곱지 않음을 느끼지만 그녀를 향한 마음을 접지 못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