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1602569702411.jpg

을유세계문학전집_66

에다 이야기

THE PROSE EDDA

스노리 스툴루손 , 이민용

280쪽, B6 (128*188mm), 12,000원

2013년 10월 30일

ISBN. 978-89-324-0398-4

이 도서의 판매처

『반지의 제왕』「니벨룽의 반지」 등 수많은 대작의 기원이 된 게르만 신화의 출전

 신과 거인, 엘프, 난쟁이, 전사 들이 빚어내는 음울하고 매혹적인 이야기


 

게르만 신화를 알고 싶다면 가장 먼저 읽어야 할 고전

게르만 신화의 원형에 가장 가까운 게르만 신화집 『에다 이야기』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을유문화사에서 출간되었다.

게르만 신화는 그리스 신화와 더불어 유럽 양대 신화를 이루며 전 세계적으로 문화 예술 영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하나의 대중적 신화로 자리매김하지 못했다. 하지만 북유럽 신화, 북구 신화라고도 불리는 게르만 신화라는 명칭 자체는 생소할지 몰라도 신화 속 이야기나 요소들은 그리스 신화만큼이나 우리에게 친숙하다. 그 예로 바그너의 오페라 「니벨룽의 반지」, J.R.R. 톨킨의 『반지의 제왕』, 영화 「마스크」와 「토르」, 게임 「라그나로크」, 만화 『진격의 거인』 등은 모두 게르만 신화와 관련이 있다. 신화의 서사 구조를 따르거나 신, 거인, 엘프, 드워프 등 신화적 요소를 차용하는 이들 작품에서부터 게르만 신화의 주신(主神) 오딘의 이름에서 유래한 영어 단어 Wednesday(수요일)에 이르기까지 게르만 신화는 우리 문화 이곳저곳에 편재되어 있다. 

그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낮은 인지도로 인해 게르만 신화를 다룬 관련 도서는 드문 편이다. 그중에서 이 책 『에다 이야기』는 대중이 읽기 쉽게 신화 이야기를 다듬어 펴낸 다른 도서와 달리 게르만 신화의 원전이라고 할 수 있는 스노리 스툴루손의 『산문 에다』를 그대로 번역하였다. 아이슬란드의 시인이자 정치가인 스노리가 1220년에서 1225년 사이에 기록한 『산문 에다』는 근대 이전까지 ‘에다(Edda)’라고 불렸으나 1643년 운문으로 기록된 게르만 신화집이 발견되면서 스노리가 산문으로 기록한 책을 ‘산문 에다’, ‘스노리 에다’, ‘신(新)에다’라 부르고, 이 책보다 이전에 익명의 사람들에 의해 운문으로 기록된 게르만 신화집을 ‘운문 에다’, ‘구(舊)에다’라고 부르게 되었다. 『에다 이야기』는 스노리가 음유 시인들에게 시를 짓는 방법을 가르치기 위해 전체 3부로 구성하여 집필한 『산문 에다』 중에서 게르만 신화와 관련된 부분인 1, 2부만을 소개하였다. 1부에서는 창세기에서 종말까지 게르만 신화의 전모를 본격적으로 소개하고, 2부에서는 난쟁이의 마법 반지에 얽힌 탐욕과 저주 이야기, 영웅 시구르드(지크프리트)의 비극적인 전설 등 1부에서 소개하지 못한 에피소드를 들려준다. 천지 창조부터 인류의 탄생, 신들의 사랑과 음모, 신과 거인의 최후의 전쟁으로 인한 세계 종말까지 이어지는 방대한 스케일이 짜임새 있게 구성된 이야기는 게르만 신화의 음울하고 매혹적인 면모를 충실하고 다채롭게 보여 준다.

 

 

어느 옛날 스웨덴 지역을 다스리고 있던 현명한 귈피 왕은 아스족 사람들의 막강함의 근원을 알아보고자 아스가르드로 여행을 떠난다. 그는 아무도 알아보지 못하도록 은밀히 노인의 모습으로 변장하였지만 모든 것을 꿰뚫어 보는 능력을 가진 아스족 사람들은 그를 현혹시켜 지붕이 황금 방패로 뒤덮인 웅장한 성으로 초대한다. 성의 주인에게 안내된 그는 임금의 자리에 앉아 있는 세 남자에게 자신을 강글레리라고 소개한다. 하르(높으신 분), 야픈하르(똑같이 높으신 분), 트리디(셋째 분)라는 세 왕이 환대하자 그는 자신의 궁금증을 풀기 위해 여러 질문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태초에 무엇이 있었고, 만물이 어떻게 생겨났습니까?” “이 세상에 사는 인간들은 어디에서 생겨났습니까?” “신들 가운데 누가 가장 고귀하고, 그분의 능력은 어떠신가요?” “여름은 덥고 겨울은 추운데 왜 그렇게 다릅니까?” “인간들이 믿는 아스 신들의 행적은 무엇이고, 달성한 위업은 무엇입니까?”

이에 하르, 야픈하르, 트리디는 세상의 창조와 해와 달의 기원, 신과 거인, 천상과 세계수, 종말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본문 속으로

 

이에 대해 강글레리가 말했다. “거기서 어떻게 종족들이 성장했으며, 수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생겨나게 되었는지요? 또 당신은 지금 얘기하신 그를 신이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야픈하르가 말했다. “우리는 그를 결코 신으로 인정하고 있지 않다. 그는 그의 후손과 마찬가지로 악하다. 우리는 그를 서리 거인이라고 부른다. 그가 생겨났을 때 땀을 흘리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때 그의 왼쪽 팔 아래서 남녀가 각각 하나씩 태어났다. 한쪽 발이 다른 쪽 발과 어울려 아들을 하나 낳았고, 그로부터 모든 씨족이 비롯되었다.”

 

난쟁이 안드바리에게 간 로키는 물고기로 변신해 물속에 있던 안드바리를 잡아 쥐었다. 그는 살고 싶으면 바위틈에 숨겨 둔 금을 모두 내놓으라고 명령했다. 난쟁이는 가지고 있던 금을 모두 내놓았다. 그때 난쟁이가 한쪽 손에 조그만 금반지 하나를 재빨리 숨겼다. 로키가 그 모습을 보고 당장 반지를 내놓으라고 명령했다. 난쟁이는 그 반지만은 빼앗아 가지 말아 달라고 애원했다. 그것만 있으면 자신의 재산을 얼마든지 다시 키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로키는 난쟁이가 아무것도 남겨서는 안 된다며, 난쟁이에게서 그 반지까지 빼앗아 밖으로 나갔다. 그러자 난쟁이는 그 반지를 소유하는 자는 반드시 죽게 될 것이라고 저주했다. 로키는 그것참 맘에 드는 소리라며, 그 반지를 소유할 자에게 이 말을 전해 줄 테이니, 그의 저주대로 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로키를 어떻게 바꿔 부르는가? 사람들은 그를 파르바우티와 라우페이의 아들, 날의 아들이라 부르고, 뷜레이스트와 헬블린디의 형제, 늑대 펜리르인 바나르간드의 아버지, 미드가르드 뱀인 외르문간드의 아버지, 헬과 나리 및 알리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또 그는 오딘의 친척·숙부이고, 오딘이나 아스 신들과 함께하는 봄의 동행자, 또 악의 동반자이며 식사 친구이다. 또한 그는 게이뢰드의 방문자이자 그의 궤짝에 노리개처럼 갇힌 자이며, 거인들의 도둑, 전차를 끄는 염소의 도둑, 브리싱가멘과 이둔의 사과를 훔친 도둑, 슬레이프니르의 아버지, 시귄의 남편, 신들의 적, 시프의 머리카락을 자른 자, 손해를 만들어 내는 자, 교활한 아스 신, 신들을 모욕하고 속이는 자, 발드르를 죽이도록 사주한 자, 사슬에 묶인 아스신, 헤임달 및 스카디와 갈등을 빚는 적이다. 

 

프롤로그
제1부 귈피의 홀림
제2부 스칼드의 시 창작법

인물 및 용어 설명
해설 유럽 이야기 자원의 보고(寶庫): 『에다 이야기』
판본 소개
스노리 스툴루손 연보

저자

스노리 스툴루손

아이슬란드의 시인이자 역사가, 정치가로 1179년 아이슬란드의 유력 가문 출신으로 태어나 중세 유럽의 교양 교육을 받은 후 일찍이 정치적으로 출세하여 세계 최초의 의회라고 하는 아이슬란드 의회의 의장 자리를 두 차례나 맡았다. 오늘날에는 학자ㆍ작가로서 더 잘 알려져 있는데 『산문 에다』, 혹은 『스노리 에다』로도 알려져 있는 『신(新) 에다』와 초기 노르웨이 왕들에 대한 전설과 역사가 혼합되어 있는 사가(Saga)를 묶은 작품 『헤임스크링글라』, 자신의 선조로 여기는 유명한 북유럽 음유 시인 에길의 삶을 다룬 『에길 사가』 등을 집필하였다. 1241년 정치적 불신 관계에 있던 노르웨이의 왕 호콘 호코나르손의 사주를 받은 아이슬란드의 호족 기수르의 습격을 받아 레이크홀트의 자택에서 암살되었다.

역자

이민용

서울대학교에서 독어독문학을 공부하고, 독일 마르부르크(Marburg) 대학에서 수학했으며,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소설과 내러티브를 연구하였으며, 서울대학교 등에서 게르만 신화 강의를 10년 넘게 했다. 현재는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에서 인문한국(HK) 교수로 근무하며 내러티브와 그 치유적 활용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신화와 사랑』(공저), 『독일 이야기』(공저), 『인문 치료』(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변신』, 『과학의 역사1, 2』, 『책』 등이 있으며, 신화 관련 논문으로는 「내러티브와 사회적 치유」, 「『황금가지』와 겨우살이 가지 그리고 사회적 치유의 내러티브」, 「현대 과학의 눈으로 본 유럽 신화」, 「신화와 문화 콘텐츠」, 「시구르드/지크프리트의 영웅성과 약점」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