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춘추좌전(중)-표지.jpg

을유사상고전_

춘추좌전(중)

좌구명 ,장세후

1,774쪽, A5변형, 40,000원

2013년 01월 15일

ISBN. 978-89-324-5263-0

이 도서의 판매처

중국 역사의 기원을 담은 인간 드라마 
수많은 고사성어의 출전이자 <삼국지> 관우의 평생 지침서
원문의 상세한 주해(註解)를 수록

동아시아 최초의 역사서이자 통치학과 인간학의 보고
<사기>, <자치통감>에 큰 영향을 준 중국 역사서의 최고봉

중국 역사의 기원을 담은 인간 드라마『춘추좌전』의 중권이다. 동양 최초의 역사서이자 수많은 고사성어의 출전『춘추좌전』은 삼국지 관우의 평생 지침서이기도 했다. 노나라의 역사와 춘추시대 열국의 역사를 편년체로 담았으며, 인간에 대한 심오한 분석과 더불어 통치권에 대한 깊은 통찰까지 엿볼 수 있다. 원문과 주해를 함께 실어 원문의 의미를 그대로 담았고, 독자들로 하여금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중권은 상권에 이어 노나라 문공부터 선공, 성공, 양공까지 다루었다.

공자가 편수했다고 전해지는 중국 최초의 역사서 <춘추(春秋)>에 대한 주석서 『춘추좌전』(중)권이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退溪硏究所) 전임연구원 장세후의 번역으로 을유문화사에서 출간되었다. 『춘추좌전(春秋左傳)』은 총 3권(상, 중, 하)으로 구성되며, 이번에 출간된 『춘추좌전』(중)권은 노나라 문공부터 선공, 성공, 양공까지 다루고 있다. 이미 출간된 『춘추좌전』(상)권은 노나라 은공부터 환공, 장공, 민공, 희공까지 다룬다.

이 책은 기원전 722년(은공 원년)부터 기원전 468년(애공 27년)까지 총 12공(公) 250여 년간 노나라의 역사와 춘추시대 열국의 역사를 편년체로 담고 있다. 공자가 쓴 경문(經文)[원전]인 <춘추>에 후대의 작자가 전문(傳文)[해설]을 붙인 것이며, 이 책이 다룬 시기를 춘추 시대라고 부른다.

<춘추>는 노나라 사관들이 남긴 역사를 공자가 제자들에게 가르치고자 재정리한 책이다. 수백 년의 역사를 너무나 간결하게 정리한 <춘추>의 이해를 돕기 위한 대표적인 해설서로 ‘춘추삼전(春秋三傳)’이라 불리는 <춘추좌전>, <공양전(公羊傳)>, <곡량전(穀梁傳)> 이 나오게 되었다. <공양전>과 <곡량전>이 글자 한 자 한 자에 대한 공자의 의도와 의리(義理)를 밝히는 데 주력한 반면, <춘추좌전>은 구체적인 사실(史實)을 들어 경문을 설명하고 보정하였으며 나아가 바로잡기까지 하였다. <춘추좌전>은 문장이 간결하고 굳세며 유창하여 위진(魏晉) 시대 이후에는 <공양전>과 <곡량전>을 압도하게 되었다.

체재와 서사가 완전한 최초의 고대사 책으로 평가받는 <춘추좌전>은 유가 사회의 공직자가 필독해야 하는 한자 문화권의 대표적인 역사 교과서이자 사서오경 중의 하나로 자리 잡았다. 대의멸친, 순망치한, 결초보은 등 무수한 고사성어의 원전이기도 하다. <춘추>의 내용을 풍부하게 했고, 또 중국 최초로 대화체 서술 방식을 사용했으며, 사료가 상세하고 예술성이 강해 사학사 및 문학 사상의 대표작이 되었다. <춘추좌전>은 <춘추> 또는 <좌씨춘추>라고도 한다.

이번 번역본은 『춘추좌전』의 본문만을 비교적 쉽고 간단하게 읽고자 하는 독자와 『춘추좌전』을 깊이 있게 읽고 혼자서 고서를 읽는 능력을 배양하고자 하는 독자에 맞게 원문과 번역문을 2단으로 구성하였고,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가능한 한 상세하게 원문의 주해를 달았다.

“세상이 쇠하고 도가 미약해져서 부정한 학설과 포학한 행동이 일어나 군주를 죽이는 신하가 있으며 아비를 죽이는 자식이 있었다. 공자가 두려워하여 <춘추>를 지으니 <춘추>는 천자의 일이었다. 그러므로 공자께서 “나를 알아주는 것은 오직 <춘추>일 것이며, 나를 죄주는 것도 오로지 <춘추>일 것이다!”고 말씀하였다.”
-맹자․등문공(滕文公) 하(下) 

 

추천 서문
머리말
일러두기
『춘추좌전』을 읽기 전에

6. 문공(기원전 626년~기원전 609년)
문공 원년
문공 2년
문공 3년
문공 4년
문공 5년
문공 6년
문공 7년
문공 8년
문공 9년
문공 10년
문공 11년
문공 12년
문공 13년
문공 14년
문공 15년
문공 16년
문공 17년
문공 18년

7. 선공(기원전 608년~기원전 591년)
선공 원년
선공 2년
선공 3년
선공 4년
선공 5년
선공 6년
선공 7년
선공 8년
선공 9년
선공 10년
선공 11년
선공 12년
선공 13년
선공 14년
선공 15년
선공 16년
선공 17년
선공 18년

8. 성공(기원전 590년~기원전 573년)
성공 원년
성공 2년
성공 3년
성공 4년
성공 5년
성공 6년
성공 7년
성공 8년
성공 9년
성공 10년
성공 11년
성공 12년
성공 13년
성공 14년
성공 15년
성공 16년
성공 17년
성공 18년

9. 양공(기원전 572년~기원전 542년)
양공 원년
양공 2년
양공 3년
양공 4년
양공 5년
양공 6년
양공 7년
양공 8년
양공 9년
양공 10년
양공 11년
양공 12년
양공 13년
양공 14년
양공 15년
양공 16년
양공 17년
양공 18년
양공 19년
양공 20년
양공 21년
양공 22년
양공 23년
양공 24년
양공 25년
양공 26년
양공 27년
양공 28년
양공 29년
양공 30년
양공 31년

저자

좌구명

『춘추좌전』과 『국어(國語)』를 집필했다고 알려진 춘추시대 노나라의 유학자이자 사학자. 노나라에서 태사(太史)를 지낸 적이 있으며, 공자와 동시대 사람으로 전해지나, 자세한 일생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사기·12제후 연표서』에서는 “노나라의 군자 좌구명은 제자들이 각각 오류를 범하며, 제각기 주관에 집착하여 그 진의를 잃는 것을 염려하였다. 그래서 그는 공자의 기록에 연유하여 그 구절을 상세하게 논술하여 『좌씨춘추』를 지었다”고 하였다. 공자와는 의기(意氣)와 지취(志趣)의 좋음과 싫음을 같이 하여 『논어·공야장(公冶長)』에서 공자는 "말을 잘하고 얼굴빛을 좋게 하며 공손함이 지나친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는데 나 또한 이를 부끄러워한다. 원망을 감추고 그 사람과 사귀는 것을 좌구명이 부끄럽게 여겼는데 나 또한 이를 부끄러워한다"고 하였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만년에 시력을 잃은 뒤에 춘추시대 주나라와 노(魯)·제(齊)·진(晉)·정(鄭)·초(楚)·오(吳)·월(越)나라의 역사를 다룬 『국어』를 지었다고 한다. 『춘추좌전』의 지은이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고 명확하지 않다. 또한 좌구명의 좌가 성이고 구명이 이름인지, 좌구가 복성(複姓)이고 이름이 명인지도 명확하지 않다. 한 사람의 온전한 작품으로 보기 어렵고, 오랜 시간에 걸쳐 여러 사관들이 채취한 사료를 누군가가 체제를 통일하고 선택, 가공, 정리한 작품이라는 견해도 있다.

역자

장세후

영남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영남대학교 겸임교수와 경북대학교 연구초빙교수를 거쳐, 지금은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의 전임연구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저서와 역서로 『이미지로 읽는 한자 1·2』, 『한학 연구의 길잡이(古籍導讀)』, 『초당시(初唐詩)』, 『고문진보(전집)』(공역), 『퇴계 시 풀이 1~9』(공역), 『퇴계잡영』(공역), 『唐宋八大家文抄―蘇洵』(공역), 『춘추좌전(상·중·하)』, 『도산잡영』(공역), 『주자시 100선』, 『사마천과 사기』, 『사기열전 1~3』, 『주희 시 역주 1~5』, 『국역 조천기 지도·홍만조 연사록』(공역), 『도연명평전』 등이 있다.